nodemon이란?
이전에는 코드를 변경한 후 잘 동작하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에 node + 파일명 을 입력 해줘야 했다.(아주 귀찮음)
하지만 nodemon을 이용하면 서버코드를 변경할 때 저장만 하면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반영해 줄 수 있다.
https://backend-intro.vlpt.us/1/03.html
1-3. Nodemon 사용하기 · GitBook
1-3. Nodemon 사용하기 서버 코드를 변경 할 때마다, 서버를 재시작하는게 꽤 귀찮지요? nodemon 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이를 자동으로 해줍니다. 먼저, 이 도구를 npm 을 통해 글로벌 설치하세요. $ npm
backend-intro.vlpt.us
nodemon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지만 이제는 node가 업데이트 되면서 굳이 nodemon을 설치하지 않아도 같은 기능을 누릴 수 있다.
1. 버전 확인하기
이 기능은 node 18 버전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
node -v // node 버전 확인하기
2. 터미널 창에 입력하기
node --watch 파일이름
이렇게 간단하게 nodemon을 설치하지 않고도 서버코드를 변경후 저장하면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반영해 줄 수 있다!!
⭐️참고자료⭐️
https://nodejs.org/dist/latest-v18.x/docs/api/cli.html#--watch-path
Command-line API | Node.js v18.16.0 Documentation
Command-line API# Node.js comes with a variety of CLI options. These options expose built-in debugging, multiple ways to execute scripts, and other helpful runtime options. To view this documentation as a manual page in a terminal, run man node. Synopsis#
nodejs.org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 .가 안될 때 + EACCES: permission denied, unlink '/usr/local/bin/code' (0) | 2023.06.10 |
---|---|
CodeSnap 사용하기(나만 몰랐음🥲) (0) | 2023.05.24 |
node.js 설치하기 + 'MODULE_NOT_FOUND' 에러 해결 (0) | 2023.05.23 |
Github로 배포하기 (0) | 2023.05.23 |
OAuth - 생활코딩 (1)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