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
if (조건1) {
// 조건1이 통과할 경우
} else if (조건2) {
// 조건1이 통과하지 않고
// 조건2가 통과할 경우
} else {
// 모든 조건이 통과하지 않을 경우
}
=> 조건에는 boolean으로 결과가 나오는 비교구문이 들어간다.
예시1)
x가 음수인지 양수인지 구하기
let x = 3
if(x < 0) {
console.log("x는 음수입니다")
} else if(x = 0){
console.log("x는 0입니다")
} else{
console.log("x는 양수입니다")
}
예시2)
x의 길이가 5보다 크거나 같으면 길이를 console.log로 출력
let x = "hello world"
if(x.length >= 5) {
console.log(x.length)
}
switch문
조건식을 두고 조건의 진위 여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if문과는 다르게(boolean값)
switch문은 어떤 값을 가진 대상을 두고 조건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boolean 값보다는 문자열, 숫자 값인 경우가 많음!)
즉, 변수의 값에 따라 여러개의 경우(case)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let fruit = "apple"
switch(fruit) {
case "apple":
console.log("apple")
break
case "banana":
console.log("banana")
break
case "kiwi":
console.log("kiwi")
break
default:
console.log("not sold")
}
조건문 중첩
let age = 20
let gender = "female"
// female-male과 adult-no adult 분리
if(age <= 18){
if(gender === "female"){
console.log("female who is not an adult")
} else {
console.log("male who is not an adult")
}
} else {
if(gender === "female"){
console.log("female who is an adult")
} else {
console.log("male who is an adult")
}
}
조건부 실행
let x = 10
if(x > 0){
console.log("x는 양수입니다")
}
요즘 많이 쓰이는 문법
x > 0 && console.log("x는 양수입니다")
falsy한 값 truthy한 값
if(0) {
// main logic
console.log(0)
}
if("") {
// main logic
console.log("")
}
if(null) {
// main logic
console.log("null")
}
if(undefined) {
// main logic
console.log("undefined")
}
if(NaN) {
// main logic
console.log("NaN")
}
if(false) {
// main logic
console.log("false")
}
if(true) {
// main logic
console.log("true")
} // 이것만 실행됨
▶️ true를 제외한 나머진 if문의 조건문 안에서는 모두 falsy한 값으로 해석된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정복하기[3] - 함수편 (0) | 2023.05.25 |
---|---|
JavaScript 정복하기[2] - 형변환, 연산자 (0) | 2023.05.25 |
JavaScript 정복하기[1] - JavaScript 데이터 타입 (0) | 2023.05.24 |
JavaScript 정복하기[0] - 변수, 데이터타입 (1) | 2023.05.24 |
JQuery와 Javascript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