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데이터를 담는 저장소(메모리)의 이름을 변수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1. 선언(declaration)
let age ;
2. 할당(assignment)
age = 12 ;
3. 선언과 할당 동시에 가능
let name = kim ;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
1.
let myname; // 선언
myname = 'Steve'; // 할당
let myname = 'Steve' ; // 선언과 할당 같이
// 만약 할당이 없다면 undefined 가 나옴. (정의되지 않음)
2.
let pi = 3.141592 ;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식은 3.141592...*반지름 * 반지름 이다.
이 때 편의를 위해 3.141592...를 우리는 pi로 선언해 줄 수 있다.
반지름이 5인 원의 넓이
let pi = 3.141592 ;
pi * 5 * 5 ;
이 때 한 가지 변수를 더 선언할 수 있는데 반지름*반지름 이다.
let pi = 3.141592 ;
let radius = 5 ;
pi * radius * radius ;
이 결과물을 다시 변수로 담을 수 있는데
let areaOfCircle = pi * radius * radius ;
(변수명엔 공백을 쓸 수 없으므로, 보통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써 붙인다.)
이렇게 변수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편의성 때문이다.
만약 하나의 원의 넓이를 구하는 것이라면 하나하나 수정하는 방법도 괜찮을 수 있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원의 넓이를 구해야 한다면 변수를 설정하여 반지름길이만 입력하는 방식이 훨씬 합리적이다.
구구단을 출력하는 방법
console.log(3 * 1)
console.log(3 * 2)
console.log(3 * 3)
console.log(3 * 4)
console.log(3 * 5)
console.log(3 * 6)
console.log(3 * 7)
console.log(3 * 8)
console.log(3 * 9)
3단이 아닌 6단으로 바꾸고 싶다면 3을 6으로 변경해야 한다.
하지만 2단부터 9단까지 여러 개가 필요하다면 모든 숫자를 변경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때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다.
변수를 사용한 구구단을 출력하는 방법
let num = 3;
console.log(num * 1) // 3
console.log(num * 2) // 6
console.log(num * 3) // 9
console.log(num * 4) // 12
console.log(num * 5) // 15
console.log(num * 6) // 18
console.log(num * 7) // 21
console.log(num * 8) // 24
console.log(num * 9) // 27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숫자 하나만 바꿔주면 쉽게 몇 개의 구구단이라도 수정할 수 있다.
⭐️⭐️⭐️중요⭐️⭐️⭐️
- 데이터 보관함의 크기는 동일하다.
- 변수는 선언 한 이름(Label)을 통해 데이터를 사용(재사용) 할 수 있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 은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변수에 할당하기 위해 사용한다.(같다는 의미로 사용하려면 "===")
- 데이터 보관함의 크기는 동일하다.
- 변수란 각 보관함에 붙인 이름을 의미한다.
- 변수의 선언과 할당은 반복적으로 사용해야하는 값을 데이터 보관함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데이터 보관함(메모리)에 넣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1) (0) | 2022.07.21 |
---|---|
JavaScript 함수(2) (0) | 2022.06.29 |
JavaScript 함수(1) (0) | 2022.06.29 |
JavaScript 타입(1) (0) | 2022.06.28 |
JavaScript 조건문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