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과 반복문은 자주 같이 사용된다.
let myNum = [10, 20, 30, 40];
let sum = 0;
for(let n = 0; n < myNum.length; n++){
sum = sum + myNum[n] // 반복할 구문
// sum = 0 + 10 --> sum + myNum[0]
// sum = 10 + 20 --> sum + myNum[1]
// sum = 30 + 30 --> sum + myNum[2]
// sum = 60 + 40 --> sum + myNum[3]
}
console.log(sum); // 100
[Array.isArray]
Array.isArray() 메서드는 인자가 배열인지 판별합니다.
typeof words //object
typeof [1,2,3] //object
인자의 타입을 알려주는 typeof를 사용해도 배열은 object라고 할 뿐 배열인지의 여부는 알려주지 않는다.
이 때 배열인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것이 Array.isArray 이다. true / false 로 알려주는 boolean타입이다.
Array.isArray('문자열') //false
Array.isArray('123' ) //false
Array.isArray([1,2,3] ) //true
[indexOf]
배열에서 지정된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1을 반환한다.
let words = ['apple', 'banana', 'orange']
words.indexOf('apple') //0
words.indexOf('banana') //1
words.indexOf('orange') //2
words.indexOf('없는 단어') //-1
//index를 알고 싶을때
words.indexOf('apple') === 1 //true
words.indexOf('apple') !== -1 //true
words.indexOf('없는 단어') !== -1 //false
함수로도 사용 가능하다.
let words = ['apple', 'banana', 'orange']
function hasElement(arr, element){
let isFruit = arr.indexOf(element) !== -1;
return isFruit;
}
//함수로 index를 알고 싶을 때
hasElsement(words, 'apple') //true
hasElsement(words, '없는 단어') //false
[includes]
배열이 특정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별한다.
let words = ['apple', 'banana', 'orange']
words.includes('apple') //true
words.includes('없는 단어') //false
⭐️⭐️⭐️중요⭐️⭐️⭐️
*둘중 하나만 알아야 한다 하면 includes보다는 indexOf를 아는게 좋다!
includes는 존재 여부만 확인 가능하지만 indexOf는 index정보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범용성이 넓다.
includes의 치명적 단점: 브라우저 호환성이 좋지 않다.(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사용 불과하지만 이제는 상관 없음)index사용/반복문 사용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Script 스코프(scope) (0) | 2022.07.21 |
|---|---|
| JavaScript 객체 (0) | 2022.07.21 |
| JavaScript 배열(1) (0) | 2022.07.21 |
| JavaScript 함수(2) (0) | 2022.06.29 |
| JavaScript 함수(1) (0) | 2022.06.29 |